직장인 연말정산
직장인들은 곧 연말정산을 하게 됩니다.
"난 어차피 유리지갑인데 나라에서 알아서 떼어 가지!"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만 직장인들이 내는 세금이란 건 월급에 비례해서 내는 것이 아니라 내가 받은 월급에서 여러가지 기타 비용을 뺀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만 세금을 내는 것이기에 구체적으로 내가 어디다 썼는지 알아서 입증을 해야 정부가 세금을 떼어 갈 수 있습니다.
그래서 오늘은 연말정산에서 챙겨야 할 것들을 알아보겠습니다.
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
연말정산 미리보기에서는 무엇을 알 수 있는건가요?
금년 1월부터 9월까지 본인이 사용했던 카드내역, 10월부터 12월까지는 작년도에 신고한 내역이 들어가 있습니다. 12월분 같은 경우 내가 아직 쓰지 않은 부분이라 작년 기준으로 임의로 들어가 있고 이것은 개인이 수정이 가능합니다 .
그래서 12월까지 월급을 받고 지출을 했을 때 내년에 얼마의 세금을 내야하며, 또는 얼마의 세금을 돌려받을 수 있을지 시뮬레이션해 볼 수 있습니다.
연말정산 미리보기를 하면 뭐가 좋은가요?
1인가구, 나 혼자 살고 소득공제 받을 대상이 나 밖에 없다라는 분들은 연말정산 미리보기가 그렇게 큰 의미는 없습니다 .
그런데 맞벌이 가족이나 형제들이 많은 경우 누가 부모님을 부양했을 때 세액 공제를 더 많이 받을 수 있나라는 것이 궁금하신 분들이 있으실 겁니다. 이런 계산은 일반인들은 하기 힘들고 세무사들이 해주는데 그걸 돈 내고 할 수 없으니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를 이용하면 내가 알고 싶은 부분도 알려주고 절세팁까지 알려줍니다.
또한 연말정산 미리보기를 이용하면 남은 기간동안 내가 어떻게 지출하는 것이 나에게 이익이 될지 알 수 있으니 그것도 장점 중에 하나겠죠.
그럼 연말정산 미리보기 어디서 볼 수 있나요?
연말정산 미리보기를 검색하시면 홈택스가 뜹니다. 홈택스에 들어가셔서 조회발급이란게 있어요. 그거 클릭하시면 화면 중간 약간 오른쪽에 '연말정산 미리보기'라고 작은 메뉴가 있습니다 그거 클릭하시면 되는데 이때 공인인증서는 꼭 필요합니다.
혹시 가족의 신용카드 사용내역을 보고 싶은신 분들은 가족동의가 있어야 하고요(휴대폰 인증) 이때도 공인인증서 역시 필수입니다.
저도 들어가서 한번 해봤는데 제가 기억도 안나는 카드사용 내역이 있더라고요. 내가 어딜 돌아다니면서 뭘 먹고 뭘 하는지 국가는 다 알고 있었던 겁니다.ㅎㅎ
이렇게 내 지출내역을 다 알고 있으면 그냥 나라에서 해주면 되지 왜 굳이 본인이 직접 하라는지... 귀차니즘 발동 ㅎㅎ
내가 직접 챙겨야 하는 영수증
그런데 카드로 썼지만 소득공제 빠져 있고 본인이 직접 영수증을 제출해야 하는 것들이 있어요.
나라가 빼먹는 걸 본인이 꼼꼼히 챙겨서 제출해야 합니다 .
그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.
- 의료비 중 콘텍트렌즈, 안경 구입비, 장애인 보조기구
- 교육비 중 교복과 체육복 구입비
- 취학 전 아동의 학원비(초중고 학생은 교육비 소득공제가 안됩니다.)
도서 구입비, 공연 관람도 소득공제 대상
'생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찢어진 수표, 지폐 되찾는 법 (0) | 2018.11.19 |
---|---|
깡통전세 전세보증금 걱정없이 돌려 받는 법 (0) | 2018.11.15 |
주유소 가면 한 번 쯤 궁금했던 것 (0) | 2018.11.13 |
휴대폰 소액결제 시 본인 확인 문자 비용은 누가 내는 걸까? (0) | 2018.11.13 |
스토리웨이 편의점이 기차역에만 있는 이유와 기차역 상점 창업 (0) | 2018.11.13 |